안녕하세요! 라자냐입니다.
체스는 체크메이트로 보통 끝나지만, 스타일메이트나 시간 초과 등 체크메이트 이외의 방식으로 경기가 끝나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체스 경기가 끝나는 각각의 경우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목차
1. 체크메이트 (승패)
2. 스타일메이트 (무승부)
3. 시간 초과 (승패)
4. 기물 부족 (무승부)
5. 반복 (무승부)
6. 50수 규칙 (무승부)
7. 합의 (무승부)
8. 기권 (승패)
1. 체크메이트 (승패)
상대의 킹을 체크메이트 시키는 것은 가장 일반적으로 체스 경기를 이기는 방법입니다.
상대의 킹을 공격하는 것을 '체크'라고 하는데, 체크 상태가 되면 체크를 당한 상대는 킹을 안전한 위치로 옮기거나 다른 기물들을 움직여 즉시 공격을 방어해야 합니다. 하지만 체크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그 상황을 '체크메이트'라 부르며, 체크메이트를 한 선수의 승리로 게임은 끝납니다.
2. 스타일메이트(무승부)
만약 체크메이트 상황이 아니지만, 기물을 움직일 수 없는 경우에도 게임은 끝나게 됩니다.
체스 경기의 기본 규칙이 '매 턴 기물을 움직여야 한다'이기 때문이지요.
이런 상황이 연출되는 경우는 보통 한쪽의 킹이 혼자 남거나 킹과 폰 몇 개 정도만 남았을 경우입니다.
킹이 혼자 남은 상대는 무조건 킹을 움직일 수밖에 없지만, 만약 킹이 체크메이트는 아니지만 모든 경로가 공격받고 있어서 더 이상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일 때, 게임은 무승부로 끝나게 됩니다.
체크메이트를 시도하다 스타일메이트가 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정확하게 체크메이트를 이루어내어 무승부 대신 경기를 승리하시길 바랍니다.
3. 시간 초과 (승패)
체스에는 정해진 시간이 있습니다.
각각의 선수에게는 일정한 시간이 주어지는데요,
만약 한쪽이 시간을 다 써버린다면, 그 즉시 경기는 끝나게 됩니다.
시간을 먼저 다 쓴 쪽이 패배합니다.
시간 때문에 허무하게 패배하고 싶지 않다면, 시간관리는 필수입니다!
4. 기물 부족 (무승부)
만약 양쪽 선수가 모두 킹만 남은 상황이 벌어진다면 어떻게 될까요?
킹은 다른 킹을 체크메이트 시킬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서로를 체크메이트 할 방법이 없게 되어버립니다.
이렇게 양 쪽 선수의 기물이 모두 체크메이트 시키기에 부족한 경우, 게임은 무승부로 끝납니다.
한편, 시간 초과와 기물 부족 조건이 동시에 충족된다면, 무승부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만약 한 선수의 시간이 초과되었지만, 상대의 기물이 그 선수를 체크메이트 시키기에 부족하다면, 그 선수는 시간 초과로 패배하는 것이 아닌 무승부가 됩니다.
상대의 기물 부족으로 체크메이트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선수가 시간이 더 있었더라면 절대 패배할 수 없었다는 점을 고려해 주는 것이지요.
이러한 기물 부족의 조건은 경기마다 그 규칙이 조금씩 다르므로 각 경기의 규칙을 잘 숙지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5. 반복
똑같은 움직임이 3회 반복되면 양 선수는 반복에 의한 무승부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무한히 진행되는 경기를 방지하는 것이지요.
이를 잘 이용하면, 패배할 수도 있는 상황을 무승부로 바꿀 수도 있습니다!
6. 50수 규칙 (무승부)
50수가 진행되는 동안 폰의 움직임 또는 상대 기물을 잡는 수가 두어지지 않았다면, 양 선수는 무승부를 주장할 수 있습니다.
7. 합의 (무승부)
양측 선수의 합의가 있다면 게임은 무승부로 끝날 수 있습니다.
보통 양쪽 선수 모두 승리할 수 없다고 생각되는 게임에 합의가 진행됩니다.
체스 대회에서는 선수들이 대회의 상황을 고려해 게임을 일찍 끝내기 위해 전략적으로 무승부를 합의하기도 합니다.
8. 기권 (승패)
체스는 기권이 가능합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게임을 지속할 수 없는 상황이 된다면, 선수는 기권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한쪽 선수가 기권을 선언한다면, 그 즉시 게임은 끝나게 되고, 기권한 선수는 패하게 됩니다.
체스 경기에서는 보통 체스메이트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연출되면, 체크메이트 상황까지 가지 않고 보통은 체크메이트를 당하는 선수가 미리 기권을 합니다.
양쪽 선수 모두 곧 체크메이트 상황이 될 것을 알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게임을 끌지 않는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체스 경기가 끝나는 8가지 경우에 대해 써보았습니다!
체크메이트는 바로 알 수 있지만, 스타일메이트나 반복의 경우 바로 알아차리지 못할 수도 있으니, 각 규칙을 기억하며 체스 게임을 하시길 바랍니다!
'BA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스] 기물 행마법 - 체스 말을 움직이는 법 (0) | 2023.04.13 |
---|---|
[체스] 체스 규칙 3 - 체스의 제한시간, 레이팅(Rating) (0) | 2023.04.13 |
[체스] 체스 규칙 2 - 체스 표기법 기보법, 체스 흑백 순서 (0) | 2023.04.13 |
[체스] 체스 규칙 1 - 체스의 유래, 체스의 역사, 체크와 체크메이트, 체스 세팅방법 (0) | 2023.04.13 |
[체스] 소개 - 체스의 세계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4) | 2023.04.12 |